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무원연금
- 인플레이션
- 국민연금 조사
- 물가인상 연금
- 은퇴자금
- 노후
- 주택연금
- 퇴직 고민
- 읽어버린 30년
- 행복한 노후
- 국민연금공단
- 부부생활비
- 연금가입
- 노후준비
- 행복한 은퇴
- 은퇴 수입
- 연금액
- 인플레이션 위협
- 국민연금연구원
- 노후연금
- 은퇴수입 500만원
- 연금수입
- 역모기지
- 노후생활비
- 노후 중요한 요소
- 노후자금
- 재무
- 국민노후보장패널
- 일본식 장기불황
- 노후 파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
은퇴준비-노후행복 연구소

현재 뉴스를 도배하고 있는 인플레이션과 이것이 노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연금생활자는 근로나 사업소득이 없는 경우 연금에 생활비 등을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자식들에게 자산의 일부를 미리 증여해준 상황에서 의료비 지출이 커지고 집값과 전세가격이 상승할 경우 자칫하면 노후파산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정된 연금액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상대적으로 가용한 소득의 감소를 가져오게 됩니다. 물론 공적연금의 경우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게 되어 있지만 사실 강력하고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연금을 무력화 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쉽게 얘기하면 지금 50대인 퇴직 예정자가 60세에 월 300만원 연금 소득의 계획을 짠다고 가정할때 ..

은퇴 후 월 500만 원이면 경제적 자유가 가능하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고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로부터 자유로와 질 수 있다고 여러 분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은퇴후 월 고정수입 500만 원 만들기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해 실제 가능할지 본인 상황에 비추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왜 500만원인가를 살펴보면 진정한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200, 300도 가능하지만 현재의 물가 수준과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일단 현재 생활비 수준과 인플레이션등을 고려한후 넉넉잡아 대략 500만 원 정도로 산정해 보겠습니다. 미래의 불확실성은 그 누구도 피해갈수 없고 미래에 대한 준비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삶을 보장해줄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만들어 놔야 할 필요성이..

국민연금 연구원에 따르면 생계를 유지하는 최저 생활비는 월 117만 원, 부부 기준으로 195만 원이라고 월 합니다. 이는 2019년에 수행된 국민 노후보장 패널 조사결과에서 나온 수치라고 합니다. 지금은 2022년이고 코로나와 국제정세로 인한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인해 정확한 계산 없이도 부부 기준으로 200만 원을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측이 가능합니다. 보다 상세한 자료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연구원 발표자료답게 지난번 조사와 비교하여 노후 생활비 수준은 개인 기준으로는 6%, 부부 기준으로는 약 8% 증가하여 부부 기준의 필요 생활비 상승폭이 개인 기준보다 높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한 노후 생활비 마련을 위해 1 국민 1 연금 준비 필요성이 있다고 합니다. 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