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부생활비
- 공무원연금
- 일본식 장기불황
- 연금가입
- 연금액
- 은퇴수입 500만원
- 읽어버린 30년
- 재무
- 노후생활비
- 노후준비
- 은퇴 수입
- 국민연금 조사
-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연구원
- 역모기지
- 인플레이션
- 노후자금
- 물가인상 연금
- 은퇴자금
- 노후 중요한 요소
- 주택연금
- 노후연금
- 행복한 은퇴
- 퇴직 고민
- 노후
- 연금수입
- 행복한 노후
- 노후 파산
- 인플레이션 위협
- 국민노후보장패널
- Today
- Total
목록노후 (2)
은퇴준비-노후행복 연구소

현재 뉴스를 도배하고 있는 인플레이션과 이것이 노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연금생활자는 근로나 사업소득이 없는 경우 연금에 생활비 등을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자식들에게 자산의 일부를 미리 증여해준 상황에서 의료비 지출이 커지고 집값과 전세가격이 상승할 경우 자칫하면 노후파산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정된 연금액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상대적으로 가용한 소득의 감소를 가져오게 됩니다. 물론 공적연금의 경우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게 되어 있지만 사실 강력하고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연금을 무력화 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쉽게 얘기하면 지금 50대인 퇴직 예정자가 60세에 월 300만원 연금 소득의 계획을 짠다고 가정할때 ..

다들 노후준비가 중요하다고 얘기를 합니다. 일찍 준비해라 잘 준비해라 지금도 늦지 않았다 등등 어떻게 듣다 보면 다 똑같은 얘기고 비슷비슷하기도 하고요 자 그럼 다들 얘기하는 노후준비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이고 혹시 있다면 우선순위는 무엇일까요? 노후와 은퇴준비에 있어서 뭣이 중한데 한번 알아보시죠 1. 건강 : 누가 뭐래도 건강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을 부정하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굴지의 대기업 총수도 80세를 못 넘기고 돌아가시거나 정말 이른 나이에 건강문제로 사망할 경우 사람들은 그래도 더 오래 살고 있는 작은 도시에 사는 촌부가 더 낫다는 말을 하고 합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조건 오래 사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핵심이라고 합니다. 어쨌든 제..